Shared Directory
공유 디렉토리 사용시 참고 가능한 내용들입니다.
Last updated
공유 디렉토리 사용시 참고 가능한 내용들입니다.
Last updated
현재 GSDS 서버에는 개인 디렉토리의 저장공간을 제한하는 대신 랩 마다 비교적 큰 저장공간을 가진 를 제공하고 있습니다. 따라서 GSDS 서버 사용시 개인 디렉토리에 저장공간이 부족한 경우 아래 내용을 참고하여 공유 디렉토리를 활용하시기 바랍니다.
공유 디렉토리에 생성한 폴더 또는 파일을 같은 그룹원끼리 공유하고자 할 때는 해당 파일의 권한을 잘 설정해야 합니다.
현재 폴더 또는 파일이 가지고 있는 권한은 ll
명령어로 쉽게 확인가능합니다.
여기서 가장 왼쪽에 있는 drwxrwx---
가 는 파일의 권한을 나타냅니다. 각 글자가 나타내는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.
파일 종류: -
는 파일, d
는 디렉토리, l
는 링크라는 뜻입니다.
파일 소유자의 권한: r
은 읽을 수 있는 권한, w
는 수정할 수 있는 권한, x
는 실행할 수 있는 권한입니다.
파일 소유자와 동일한 그룹의 권한: 파일 소유자와 동일하게 해석하시면 됩니다.
이외의 사용자들의 권한: 파일 소유자와 동일하게 해석하시면 됩니다.
소유자와 동일한 그룹원(같은 랩 구성원)간의 파일을 공유하고 싶은 경우에는, 적절한 권한이 그룹원들에게 부여되어 있어야 합니다. 예를 들어 위 이미지 예시와 같이 권한이 부여된 파일이 그룹원과 공유된 경우, 그룹원들이 파일을 읽고 실행할 수 는 있지만, 수정할 수 는 없습니다. 따라서, 그룹원들 만이 공용으로 수정하는 작업공간이 필요한 경우 파일의 권한이 drwxrwx---
와 같은 형태를 가져야 합니다.
파일의 권한 수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chmod
명령어를 사용하면 됩니다. 가장 일반적인 사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.
먼저 각 권한은 다음과 같은 숫자에 대응됩니다.
r(read): 4
w(write): 2
x(excute): 1
이제 위 숫자들을 조합하여 권한을 표기합니다. 예를 들어 rwx 는 4+2+1=7 이되고, r-x 는 4+1=5가 되게 됩니다.
따라서 특정 파일에 rwxr-xr--
와 같이 권한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이 명령어를 실행하면 됩니다.
만약 디렉토리 안에 있는 모든 파일에 대해서 권한을 수정하는 경우에는 -R
옵션을 사용하시면 됩니다.
파일 소유자를 변경하는 경우에는 chown 명령어를 사용하면 됩니다. 가장 일반적인 사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.
먼저 ll 명령어를 통해 파일의 소유자, 그룹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위 예시 이미지에서 왼쪽에서세번째 줄은 파일의 소유자를, 네번째 줄은 파일을 소유자의 그룹을 나타냅니다.
특정 파일의 소유자 및 그룹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명령어를 실행하면 됩니다.
만약 디렉토리 안에 있는 모든 파일에 대해 소유자 및 그룹을 수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-R
옵션을 사용하시면 됩니다.
만약 공유 디렉토리에 있는 파일 또는 폴더를 내 개인 디렉토리에 있는 것처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soft link 를 사용하시면 됩니다. soft link 는 쉽게 윈도우의 바로가기 아이콘을 생성하는 것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.
soft link 를 생성하는 명령어는 아래와 같습니다. A 라는 파일을 B 라는 이름의 link 로 개인 디렉토리에 만들고자 할 때, source
에는 A 를, target
에는 B 를 작성해주시면 됩니다.
생성된 link 를 ll 명령어를 통해서 아래와 같이 파일 권한의 가장 앞 글자가 l
이 된 것을확인할,수있고, 어느 파일로 연결되어 있는 지를 알 수 있습니다.
ll
output example